나의 롤토체스 답사기

이차전지 괜히 불안해지는 뉴스들 모음 본문

주식공부

이차전지 괜히 불안해지는 뉴스들 모음

롤체방송애청자 2023. 4. 6. 13:16
반응형

대한민국 주식시장은 이차전지 빼놓으면 할말이 없다.

얼마전 주간지를 보니 이차전지를 빼면 거의 다 마이너스라고 한다. 

하늘 높은줄 모르고 치솟는 이차전지 관련주들 언제까지 오를지 나도 궁금하다.

아직 국내 전기차시장 아니 세계적으로 봐도 아직 전기차가 보편화 되있지 않았기 때문에

사실 성장가능성은 가늠할 수 없을정도로 엄청 크다. 

단, 우리만 하는게 아니라 세계 다른 나라들도 당연히 이차전지에 뛰어들고 

이로 인한 경쟁상황들, 그리고 정치적인 부분으로 이용되는 여러 얽히고 섥혀있는 문제들로 인해

마냥 장미빛은 아닌 것 같다. 물론 이 또한 잘 헤쳐나가리라 믿는다.

< 추격해오는 일본 중국 >

미국 IRA는 어찌보면 중국견제를 목표로 하는데

FTA협정을 안맺은 일본이 광물에 대해서만 따로 협정하면서

FTA국가인 우리와 동일하게 올라왔고

견제하고자 하는 중국조차 테슬라와 같이 미국에 공장을 만들려고 한다고 한다.

뭔가 앞뒤가 안맞는거 같긴하다. 

그리고 지금 중국에 있는 우리 공장들도 유예기간이 지나면 제재를 받지 않을까 우려된다. 

하지만 중국은 우리의 제일 큰 무역국인데 .. 우리로써는 사실 중국 미국 둘 다 놓칠수가 없다.

국방이나 정서는 미국쪽에 가깝지만 실제 무역과 경제는 중국과 너무나 밀착해있다. 

이런상황에서 미국과 중국이 패권을 두고 다투면서 한쪽을 선택하라고 하는 상황이 될건데, 

참 어렵다.

< 광물이 너무 중국의존도가 높다 >

양극화'물질'은 부품으로 포함하지 않고 광물로 포함했기 때문에 지금처럼 중국산 광물을 수입후

우리나라에서 가공하여 미국에 팔아도 된다. 

그런데 핵심광물은 2025년부터 외국 우려 단체에서 조달하지 못하는데 

당연히 중국이 포함될거고 대부분을 중국에서 수입해 오는 우리는 2025년 안에

새로운 광물수입원을, 미국과 FTA협정을 맺은 국가로 찾아야만 한다. 

< 양극재 업체들의 주가가 높아지는 이유 >

전에 이차전지에 대해 읽어볼때 대다수의 제품들은 중국이 주력으로 생산하는 LFP라고 한다. 

우리는 NCM, NCA를 주로 하는데 이건 가격이 비싼 대신 퀄리티가 높다고 한다. 

그래서 중국과의 가격경쟁력 확보를 위해 일부회사에서는 LFP생산도 같이 하려고 한다고 하는데

곰곰히 생각해보면 애초에 LFP를 쥐고 있는 중국을 상대로 같은 제품을 만들려는 것은

반대로 생각해보면 우리업체들의 NCM, NCA등등이 품질이 좋더라도

결국 가격경쟁력을 파훼할만큼의 가성비까지는 안나온다는 반증 아닐까?? 

< 슬슬 조여오는 미국의 압박 >

미국이 우리나라 알루미늄박 생산 업체 6곳에 제재조치를 했다.

중국산을 수입해서 가공후 미국에 수출하는 것이 우회하는 방식이라는 이유이다.

만약 이런식으로 점점 더 규제를 옥죄어 온다면...

< 전기차 배터리 요건이 안되서 보조금을 다 못받는 현대차 >

미국엔 그 이름도 존엄한 테슬라가 있다. 이런 공룡을 상대로 현대차는 매우 좋은 실적들을 보여주었다.

하지만 배터리부분에서 보조금을 못받게 되면서

그대로 원가에 반영되어 테슬라와 가격차이가 심하게 나버렸다.

그러면 당연히 판매는 저조할 수밖에 없다. 

이차전지가 주목받고 주식시장의 선두주자로 이어갈 수 있는 이유가 전기차인데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자동차회사에서 판매가 부진하다?? 절대 좋은일이 아니다.

물론 테슬라에서 우리 이차전지를 사서 끼우기도 하겠지만, 

이미 테슬라는 중국과 손잡고 미국에 공장을 지으려고 하는 마당에 우리꺼 많이 써줄까...

그리고 우리가 주력하고 있는 배터리에 비해 중국은 더 값싼 LFP를 생산하는데

테슬라가 공장까지 짓는다는건 결국 삼원계 배터리보다 LFP를 주력으로 사용하겠다는 뜻 아닐까.

그러면 우리는...... 훔... 

그동안 하향없이 줄곧 우상향으로 뻗어가던 이차전지가

왠지 조만간에 한풀 꺾일 것 같은 건 내생각뿐일까.

반응형
Comments